끝없이 조각_ 김명준, 김영웅, 남설, 정유빈_ 2022.12.13-12.20

2020년 대전 모리스 갤러리에서 진행 된 <조각 오류> 전시에 이어 김명준, 김영웅, 남설, 정유빈 네 명의 작가는 또 다시 사회를 이루는 조각(piece)들에 주목한다. <조각 오류> 전시에서 현대사회의 크고 작은 ‘불안’에 집중하였다면, 이번 <끝없이 조각> 전시에서는 ‘시간’에 관해 탐구하고 사고해보고자 한다. 시간에 대한 우리의 관점과 인식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 장소와 시대에 따라서 달라지는 시간개념과 시간의 다양한… Read More 끝없이 조각_ 김명준, 김영웅, 남설, 정유빈_ 2022.12.13-12.20

움트다_ 조진희 Cho Jin Hee_ 2022.12.2-12.11

들풀은 바람이 부는 방향에 따라 스러졌다 일어나기를 반복한다. 온몸으로 비바람을 맞지만 무한한 생명력으로 버틴다. 시들어 죽은 것 같지만 살아있다고 온몸으로 말해주는 들풀의 모습이 경이롭다. 들풀은 오늘도 나에게 버티고 살아내는 삶을 배우라고 이야기한다. 흔들리지만 뿌리 뽑히지 않는 강인함을 닮으라고 말한다. 나도 그러겠노라고 붓을 들어 답한다.   갯버들, 강아지풀, 억새, 달뿌리풀, 양초 갈대와 같은 풀들은 계절의 변화에 따라… Read More 움트다_ 조진희 Cho Jin Hee_ 2022.12.2-12.11

Foreign_ Arunasish Sen, Christie Sidik, Han Hyun Ah, Ilsiya Khalikova, Mariia Mataru, May Phyu Khin, Maya Lichtenfeld, Nanor Labajian, Nyan Lin Aung, Swam Htet Lin, Vitaliy Khan_ 2022.11.18-11.27

Have you ever felt lonely, even in a room full of people? Felt different from friends and family? Moved to a completely new environment? Such basic human experiences transcend the limits of nationality. Foreign is a group exhibition created by a group of international students about an experience we can all relate to – the… Read More Foreign_ Arunasish Sen, Christie Sidik, Han Hyun Ah, Ilsiya Khalikova, Mariia Mataru, May Phyu Khin, Maya Lichtenfeld, Nanor Labajian, Nyan Lin Aung, Swam Htet Lin, Vitaliy Khan_ 2022.11.18-11.27

찰나_ 노의정 Roh Eui Jeong_ 2022.11.7-11.16

나의 작업 주제는 유기순환이다. 직접 농사를 짓고 작물을 키우면서 땅에서 배우고 느낀 것들을 그린다. 식물이나 작물이 흙에 뿌려져 씨앗에서 싹이 나고 자라고 그 후 땅으로 다시 돌아가 거름이 되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보여주는 작업이다. 그 순환은 인간의 삶과 같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한때 죽음이 끝이라는 생각으로 작업을 했었다. 하지만 이제는 같은 형식으로 그림을 그리지만 자연의 순환이나 공존… Read More 찰나_ 노의정 Roh Eui Jeong_ 2022.11.7-11.16

Hole_ 용선_ Yongseon_2022.10.24-11.2

구멍 / 유리가루 설치, 단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 2022Hole / Glass dust installation,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 2022 옥상 천정에서 지름 약 5cm 가량의 ‘구멍’을 발견한다.컴컴한 어둠뿐인 옥상 천정의 구멍사이로 내리는 빛이 인상 깊다.옥상 바닥과 벽의 경계쯤에 놓여, 먼지 더미 속에 묻혀있는 물체를 본다.구멍 사이로 드는 가는 빛으로 인해 사방의 먼지들이 선명하다.가까이… Read More Hole_ 용선_ Yongseon_2022.10.24-11.2

죽음의 집의 기록_ 육종석 Yuk Jong Seok_ 2022.10.13-10.22

포악함은 습관이 된다. 이것은 차차 발전하여 마침내는 병이 된다. 나는 아무리 훌륭한 인간이라 해도 이러한 타성 때문에 짐승처럼 우매해지고 광포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모름지기 피와 권세는 인간을 눈멀게 하는 법이다. 거만과 방종이 심해지고 급기야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비정상적인 현상도 달콤하게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다.그러나, 나는 또다시 본론에서 벗어나고 말았다…….

행한 사람_ 이경희 Lee Kyeonghee_ 2022.9.1-9.10

-그림은 꿈이 아니다. 해가 지고 더이상 걸을 수 없을 때까지 걷고, 오늘 보고 겪은 모든 일이 꿈으로 넘어가지 않게 오늘 나의 발걸음을 뒤적거리며 그릴 만한 것을 찾는다. 하루의 경험, 하루의 깨달음, 하루의 추억이 없이, 나를 자극하는 것들, 위선 가득한 사람들, 쓰레기, 창밖의 소음, 부드러운 고양이와 강아지, 주고받은 편지, 아스팔트의 요철, 신호등의 깜박거림 없이, 끼어드는 차들,… Read More 행한 사람_ 이경희 Lee Kyeonghee_ 2022.9.1-9.10

(The space)like liquid_ 양승원 Yang Seungwon_ 2022.8.22-8.29

지그문트 바우만의 <액체 근대>에서 고체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반면 액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고체적이고 예측과 통제가 가능한 시대에서 변화와 흐름, 불안정이 지배하는 시대로 이동해왔다. 현대를 살고 있는 지금 나를 둘러싼 ‘공간’에 대한 나름의 정의를 내리고, 그에 대한 느낌과 감응을 점, 선, 면, 색 등의 조형언어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우리는 ‘시각’과 ‘지각’이라는 단어를… Read More (The space)like liquid_ 양승원 Yang Seungwon_ 2022.8.22-8.29